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7

'구도'로 인한 리젝을 피하는 방법(각도와 선) 제출된 스톡사진이 '구성(구도)'로 인한 사유로 리젝이 되었다면,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의 프레임 또는 배치에 문제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피사체의 잘못된 배열, 삐딱한 지평선, 산만한 배경 또는 프레임에 들어오는 원치 않는 요소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구성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구성 요소가 시각적으로 만족스럽고 균형이 잘 잡혀 있어서 사진을 보는 사람의 시선을 피사체로 끌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아래에는 좋은 구도를 위한 몇 가지 기본 규칙과 이러한 이유로 이미지가 리젝이 되는 가장 일반적인 시나리오 중 일부가 나와 있습니다. 삼등분의 법칙삼등분 법칙을 사용할 때 이미지 위에 가상의 틱택 토 그리드를 배치하고 교차하는 선 위에 시각저으로 핵심이 되는 요소를 배치합니다. 이렇게 하면 일.. 2021. 1. 2.
편집(누끼)으로 인한 사유로 리젝 피하는 방법 스톡사진 제출에 대해 다음과 같은 사유로 리젝을 받았을 수 있습니다. Editing: Image and/or elements of image have been poorly isolated. 편집 : 이미지 및 / 또는 이미지 요소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았습니다. 이미지에서 누끼를 따다 남는 아티팩트, 물체 주변의 가는 선 또는 작은 세부 사항 손실 등 불량한 누끼 기술로 인한 사진의 경우 "편집"으로 인한 리젝이 됩니다. 다음은 향후 이러한 리젝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한 몇 가지 제안입니다. 제출하기 전에 이미지를 100 % 전체 해상도로 보십시오. 검토자는 각 이미지를 100 % 전체 해상도보기로 검사하므로 제출하기 전에 동일한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미지에 격자를 오버레이하여 각 영역을 확인.. 2021. 1. 2.
조명 문제로 인한 스톡사진 제출 리젝 피하기 스톡사진을 제출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사유로 리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Poor Lighting: Image has exposure issues, unfavorable lighting conditions, and/or incorrect white balance.조명 불량 : 이미지에 노출 문제, 좋지 않은 조명 조건 및 / 또는 잘못된 화이트 밸런스가 있습니다.Lighting Problems: Image contains color fringing and/or inappropriate lens flares.조명 문제 : 이미지에 색 언저리 및 / 또는 부적절한 렌즈 플레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조명 및 노출 문제는 제출물을 검토 할 때 가장 자주 접하는 기술적인 문제 중 하나이며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2020. 12. 31.
시각적 노이즈 리젝션을 피하는 방법 스톡사진을 제출할 경우 다음과 같은 거부 사유로 인해 리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Noise: Image contains excessive noise, grain, artifacts and/or is poorly rasterized. 노이즈 : 이미지에 과도한 노이즈, 그레인, 아티팩트가 포함되어 있거나 래스터화되지 않았습니다. * 아티팩트 : 모니터에 나타나는 영상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컴퓨터 그래픽에서 보고 싶지 않은 부분을 가리키는 용어(원래 영상의 일부가 아닌 빗나간 화소(pixel)들의 모임이라는 뜻을 가짐) * 래스터화 : 벡터 또는 윤곽선 데이터를 비트맵으로 바꾸는 과정(벡터 방식의 텍스트나 그래픽을픽셀 방식의 이미지로 변환) 사진과 일러스트레이션 모두에서 과도한 노이즈에 대해 동일한 거부 사.. 2020. 12. 30.
공중에 떠있는 피사체(지폐, 동전 등) 표현 아이디어 유튜브로 검색하며 여러 영상을 공부하다, 뭐 일단 멋있어 보이고 감각적인 사진을 제작하는 흥미로운 영상이어서 계속 보게 되었습니다. 어떤 제 토픽과 관련해 아이디어도 얻을 수 있었고, 이럴 때마다 기록을 남겨 활용하는 습관을 들여야 하겠습니다:) + 멋있어 보인다고 그냥 따라 찍는 것이 아닌, 스톡사진이라는 분명한 목적이 있기에 항상 그 부분을 염두에 두고 작업을 해야함을 상기시켜 봅니다! 피사체 리플렉션으로 서치하다가 흥미로운 영상이 있어 계속 시청하게 되었음.. 반지 대신, 지폐나 동전을 활용하여 표현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듦. 이제는 피사체만이 아닌, 사람 손이 들어가는 사진도 찍어야 하겠음. 훨씬 생동감 있고 멋진, 그리고 주제를 좀 더 명확히 표현함에 따른 구매 확률도 제고하는데 영향을 미칠거라 .. 2020. 12. 27.
[스톡사진 보정] 배경 일부 영역 색 지우기, 변경 라이트룸은 처음이고, 포토샵은 정말 오랜만에 만져보고 있습니다. 오랜만에 만져본다는 포토샵도 간단한 작업만 할 정도였고 깊이 이해하는 수준은 아니었지요. 스톡사진을 해보기로 하고, 이 후보정이라는 작업의 중요성을 느끼며 다시 처음부터 찬찬히 배워가야겠다는 다짐으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다만, 모든걸 다 배우고 시작하기에는 그 시작이 너무 늦어지고, 준비하다 시간이 다 갈 수 있음을 살아오며 많은 시행착오 속에 느꼈기 때문에... 바로 바로 시작합니다. 즉, 실전을 통해 배우고 익힙니다!!! 하다가 막히면 해결하면 됩니다. 그러면서 조금씩, 아주 조금씩이라도 성장하도 보면 어느 순간 부쩍 늘어있겠지요. 배경 중 일부 색을 지워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였습니다. 아래와 같이 유리병 옆으로 커텐 틈 사이 빛 비추는.. 2020. 12. 21.
스톡사진 키워드(feat. 어도비스톡) 스톡사이트에 업로드 되어 있는 사진을 구매자가 검색할 때 키워드로 검색을 하게 됩니다. 즉, 잠재적인 구매자가 제가 업로드한 사진을 볼 수 있는 단계에 오기 위한 첫번째 관문이 키워드인 것이죠. 일반적으로 50개 내의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데, 입력하는 키워드에 따라 노출되는 정도를 좌우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우선 노출이 되어야, 그 다음 구매 여부를 결정하겠지요. 그만큼 잠재적인 구매자를 연결시킬 수 있는 관련 있는 키워드를 연상해서 집어넣어야 하는, 굉장히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하다보면 귀찮기도 하고, 대충하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지만, 이런 세심함과 꼼꼼함이 판매율의 큰 차이를 만들 것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목(Title) 제목은 문장으로 작성된 작가의 콘텐츠에 대한 간략하고.. 2020. 12. 21.
셔터스톡 작업사진 첫 업로드 기록 셔터스톡에 오늘 가입하고, 작업한 사진들을 처음으로 업로드하였습니다. 오후쯤에 업로드 하였는데, 저녁에 보니 2건이 승인났다고 떴습니다. 몇일 정도 걸릴 줄 알았는데, 깜짝 놀랐습니다. 또한, 리젝도 많이 된다고 해서 어떤 문제로 인해 리젝이 되지는 않을까 여러가지로 걱정도 되긴 했거든요. 음.. 이렇게 하는거구나 하면서...여러가지 생각이 듧니다. 빠른 시간 안에 제출승인이 되어서 내심 기쁘기도 하고 더 열심히 해봐야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첫 작업물들은 동전더미가 증가하여 자산이 증가하는 용도로 쓰이는 목적으로 진행하였습니다. 투자(Investment) 관련된 토픽으로 우선 작업들을 계속 할 예정이구요. 누끼가 중요하다고 하니, 연습을 통해 누끼따는 실력도 늘리고 많은 누끼 소스를 준비해서 더 고차원적.. 2020. 12. 20.
[스톡사진 보정] 스톡사진을 위한 누끼 따기(feat. 빠른 선택 도구) 스톡사진 사이트에서는 큰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분야 중의 하나가 이 누끼라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 누끼를 딴 사진으로 인해 합성에 유리하게 되고 디자이너에게는 일거리를 줄여주게 되므로 잘 따인 누끼 사진들은 계속적으로 수요가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지요. 판매도 판매이지만, 나중에 본인의 합성 작업에 있어서도 매우 유용하게 쓰이기 때문에 가능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누끼들은 따놓고 업로드까지 할 생각입니다. 최근 작업하고 있는 동전더미 시리즈들도 누끼를 따두면 나중에 분명 합성작업에 활용성이 있을 것이라 판단하기에, 누끼딴 놈하고 배경있는것, 요렇게 두 사진씩을 업로드하고 있습니다. 누끼도 처음 따보는 것이라 여러가지로 알아보았는데, 현재까지는 퀵 셀렉션(빠른 선택도구)으로 따는게 꽤 괜찮아 보입니다. 물.. 2020. 12.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