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7

#14. 포토샵 내용인식 채우기 강좌 전봇대를 없애고자 함. Ctrl + J로 원본레이어 복사. 전봇대 부분을 선택영역으로 지정하기 위해 라쏘툴을 사용하는데, 직선으로 그려주는 것이 편하므로 Polygonal Lasso Tool을 선택. 라쏘툴로 전봇대를 선택해줌. 시작점으로 돌아오면 밑에 동그라미가 생김. 이때 클릭. 선택영역이 완성됨. 선택영역이 선택된 상태에서 마우스 우 클릭. Fill 선택. Content-Aware 선택. 포토샵 네가 알아서 적당히 채워봐라고 명령을 하는 기능. 주변의 픽셀 등을 고려해서 이 선택영역 안을 채워줄 것임. 머리카락과 옷부분도 채워짐. 딱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는 않았음. 주변의 비슷한 픽셀을 가져와 채워주는 것이므로, 사람은 해당이 되지 않을 것이므로 포토샵이 더 편하게 인식할 수 있게 작업을 해줄 것임.. 2022. 1. 12.
#13. 초점 안맞는 핀나간 사진 간단하게 보정하기(초간단 쉬운방법) 초점이 얼굴이 아닌 팔에 맞아 있음. 이런 경우 보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음. 다른데는 놔두고 얼굴에만 샤픈효과를 주면 됨. Ctrl + J로 레이어를 복제, 이름을 Sharpen으로 바꿔줌. 사진을 100%로 확대. Filter - Sharpen - Smart Sharpen 실행 Remove에서 Lens Blur 선택(초점이 안 맞았을 때는 렌즈블러가 적절함) Smart Sharpen은 Amount와 Radius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Amount를 최대값으로 올려줌. Radius는 샤픈표과를 줄 경계의 두께를 의미함. 경계부분을 보면 안쪽으로는 흰색, 바깥쪽으로는 검정색의 헤일로현상이 나타남. 이 현상이 나타나면 안되므로 이를 확인하면서 점점 줄여봄. 아래와 같이 헤일로가 보이지 않을때까지.. 2022. 1. 12.
#12. 포토샵 작업의 유형별 선택도구를 고르는 요령 사과의 색상을 바꾸고 싶다면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작업은 이 사과늘 선택영역으로 만드는 것임. 포토샵에는 선택영역으로 만들어주는 다양한 도구들이 있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빠른선택도구와 색상범위를 사용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보고자 함. 빠른선택도구로 사과를 드래그해주면, 오른쪽 부분은 사과인데도 선택이 안되어 있고, 왼쪽도 마찬가지. 빠른선택도구로 포토샵이 선택영역을 지정하는 원리는 톤과 색상임. 사과 부분과 사과가 아닌 부분을 보는 원리를 밝기로 보는 것임. 사과의 왼쪽 부분을 보면, 배경은 밝고 사과는 어둡게 보기 때문에 사관의 밝은 부분은 선택이 안됨. 오른쪽 아래를 보면 밝기의 차이는 크게 없으나 색상의 차이가 극명. 그린과 레드. 비트맵 특성상 중간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작업을 해줘야 정.. 2022. 1. 11.
#11. 광도마스크(Luminosty Mask)의 기초 - 광도채널을 생성하는 방법 포토샵에서 마스크를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굉장한 이점임. 특히 광도마스크를 사용하게 되면 보정 결과물이 아주 자연스럽게 됨. 광도마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 어떻게 광도마스크를 만드는지 알아보고자 함. 사진이라는 것은 빛의 밝기에 따라서 밝고 어두운 부분이 표현되기 때문에 광도마스크는 모든 사진에서 사용이 가능함. 사진을 보정하기 위해서 광도를 먼저 세분화함. 이걸 루미넌스맵, 광도지도라고 얘기함. 먼저, 채널탭에서 RGB 썸네일을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클릭. 어딘가 선택영역으로 만들어짐. 이 선택영역을 저장하기 위해서 우측하단 마스크 클릭. 알파1채널이 생김. 알파1채널을 클릭하면, 흑백으로 나타남 레드, 그린, 블루 채널을 RGB의 각각의 색상의 분포도에 의해서 밝고 어두운 정도가 표.. 2022. 1. 10.
#10. 꼭 알아야 할 포토샵의 영역 선택도구 2부 - 색상범위(Color Range) 영역을 선택하는데 쓰이는 색상범위 기능은 실무에서 굉장히 많이 쓰이는 기능임. Select - Color Range 선택. Color Range 창이 하느 뜸. Selet에 Sampled Colors라고 되어 있는데, 어떤 색상을 하나 클릭하면 그 색상을 샘플링하여 해당 색상을 선택영역으로 만들어줌. 프리뷰가 너무 작게 보임. 하단 Selection Preview에서 Grayscale로 바꾸면 프리뷰와 동일한 모양으로 보여줌. 회색과 흰색이 보이는데, 흰색은 선택영역이라는 얘기임. 회색은 반만 선택된 상태. 따라서 프리뷰 셀렉션은 본인이 편한 방법으로 선택하여 사용. None은 이미지 그대로 보이는 것이고, 그레이스케일은 흑백으로, 등등등. 일반적으로 그레이 스케일로 보는 것이 가장 정확하게 볼 수 있겠.. 2022. 1. 9.
#9. 포토샵 작업의 시작은 영역선택. 꼭 알아야 할 선택(Selection) 도구 1부 포토샵으로 가장 처음에 접하는 선택도구는 마술봉임. 마술봉을 선택하면 포인터가 바뀌고, 배경의 분홍색을 클릭하면 이 색상과 비슷한 색상영역이 선택이 됨. 비선택된 부분도 비슷한 분홍색인데 왜 선택이 안되었냐면, 이거와 관련된 옵션이 Tolerance임. Tolerance는 특정 영역을 클릭했을 때, 이 비슷한 정도의 값을 지정해주는 값임. 20인데, 100으로 바꾸면 선택영역이 굉장히 많이 늘어남. 심지어 개의 황토색 영역까지도 같은 색상으로 인지하여 선택해버림. 선택영역 해제하는 방법은, Ctrl + D. 또는 선택영역의 한 부분을 클릭. 샘플 사이즈에서 Point Sample은. 확대해보면 하나의 픽셀을 샘플로 보겠다는 것임. 3*3 Average는 하나의 픽셀을 클릭하면, 가로, 세로 3칸씩 해서 .. 2022. 1. 8.
#8. 포토샵 작업을 빠르게 만드는 도구 - 고급개체(Smart Object)란 무엇인가? 보정 실력이 늘어날 수록 레이어의 개수가 늘어나게 됨. 레이어의 개수가 늘면 늘수록 스마트 오브젝트의 활용도가 높아짐. 피부를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보정부터. Ctrl + J로 별도의 레이어 추가, 오른쪽 마우스 클릭, Convert to Smart Object 클릭. 레이어 하단에 스마트오브젝트 표시 생김. 이미지 - 어저스트먼트 - 인버트. 이미지가 반전이 됨. 스마트 오브젝트는 원본을 그대로 바꿔버리는 것이 아니고, 반전된 정보를 스마트 오브젝트에 가지게 되는 것임. 그래서 스마트오브젝트를 끄게 되면 언제든 원본으로 돌아갈 수 있는 것임. 원본이 변환되는 것이 아닌 효과가 적용되는 레이어가 생기는 것임. 필터 - other - high pass. 적당히 4.5 정도. 그러면 전체적으로 부드럽게, 뭉개.. 2022. 1. 8.
#7. 사진가가 꼭 알아야 할 포토샵 핵심기술 광도마스크란 무엇인가 빛 효과를 강하게 하기 위한 합성을 할 것임. 불빛이 닿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밝아지고, 불빛의 반대되는 부분은 좀 어두워져야... 이런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거의 그림 수준으로 닿고 안 닿는 부분을 빛을 그려줘야 하는데, 광도마스크를 이용하면 쉽게 만들어줄 수 있음. 채널탭으로 이동. 밝은영역을 선택. RGB 채널에서 Ctrl+클릭. 마스크생성버튼 클릭. 알파1채널 생성. 검정색 부분이 있고, 아주 밝은 부분이 있고, 적당히 밝은 부분, 그리고 그 이하로 밝은 부분, 이렇게 세분화되어 있음. 이 상태에서, 현재 밝은 부분이 전체적으로 골고루 분포가 되어 있는데 밝은 영역을 좀 줄여보도록 함. Ctrl + Shift + Alt 누른상태에서 알파채널을 클릭하게 되면 선택영역이 확 줄어듦. 이 상태에서 채널을.. 2022. 1. 7.
#6. 채널을 이용해 광도마스크를 만들고 적용하는 방법 지난번은 RGB 3개 채널을 가지고 보정하는데 사용했다면, 이번에는 컬러 채널이 아닌 Luminance 채널, 즉 광도마스크를 이용해 사용하는 방법임. 사진을 보면, 불빛이 닿는 부분은 굉장히 밝고, 불빛이 닿지 않는 부분은 상당히 어두움. 빛에 따라서 밝기가 다른 특성을 이용하는 것임. 지난번 채널의 레드, 그린, 블루 채널을 이용하는 것이 아닌, 광도마스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RGB 채널에서 Ctrl + 클릭하게 되면 이미지에서 주로 밝은 영역이 선택영역으로 지정됨. 그다음 하단의 마스크 생성 버튼(Save Selection as Channel) 클릭. 그러면 Alpha 1이라는 채널이 생성됨. 이렇게 생성되는 사용자채널을 알파채널이라고 함. 밝은 영역이니 이 알파채널 이름을 'Bright'로 변경... 2022. 1. 7.
728x90
반응형